SCM 직무는
원재료 생산에서 시작해
고객에게 물류로 연결되기까지
최적의 공급체인이 될 수 있도록
관리합니다.
때문에 연관된 직무에서 가장 넓은 범위를
점유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 시리즈에서는
먼저 SCM 직무가 어떤 것인지 알아보고
1. 중계무역, 2. Trade Compliance,
3. RA/QA, 4. 무역마케팅, 5. 구매,
6. 무역사무, 7. 해외영업/마케팅, 8. 운송,
9. Inventory Management,
10. SCM전략/지원, 11. 생산, 12. 개발/구매
13. 무역수출입, 14. 물류, 15. 품질
16. 통관으로 나누어 세부직무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CM>
supply chain management의 약자이며
기업의 원재료 생산에서부터
유통까지 전체적인 공급망 처리 과정을
가장 적절하게 구성해
고객이 필요로 하는 상품을
필요한 장소와 시간에 맞춰 제공하는
공급망관리 업무를 합니다.
‘SCM 직무에서 하는 일’
‘SCM 직무의 필요 역량’
<중계무역>
타 국가에서 수입해온 물품을
그대로 제 3국가에 수출해
차익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하는
직무입니다.
‘중계무역 직무에서 하는 일’
‘중계무역 직무의 필요 역량’
<Trade Compliance>
Trade Compliance 직무에서는
기업의 목표를
더 좋은 방식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수출입 정책, 절차, 방법 및 관행이
잘 진행되도록 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Trade Compliance 직무에서 하는 일’
‘Trade Compliance 직무의 필요 역량’
SCM과 관계된 직무들은
구체적인 정보를 모으기가 어려운
분야인데요,
이번 시리즈의 포스팅을 통하여
관련 정보를 많이 얻어 가실 수 있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커리어브릿지가 알려주는 취업꿀팁 - [SCM 관련직무3] (0) | 2017.08.03 |
---|---|
커리어브릿지가 알려주는 취업꿀팁 - [SCM 관련직무2] (0) | 2017.07.26 |
커리어브릿지가 알려주는 취업꿀팁 - [기획 직무분석4] (0) | 2017.07.12 |
커리어브릿지가 알려주는 취업꿀팁 - [기획 직무분석3] (0) | 2017.07.05 |
커리어브릿지가 알려주는 취업꿀팁 - [기획 직무분석2] (0) | 2017.06.2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