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커리어브릿지입니다.
지금까지 3단계로 나누어
외국계 기업 컨설팅 펌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저번 포스팅의 Case면접에이어
페르미추정과 Guestimation에 대해
이야기해드릴 테니 두 눈 크게 뜨고 봐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 시카고에는 피아노 조율사가 몇 명이나 있을까요?
아니, 페르미추정에 대해 이야기 해준다고 해놓고선
왜 뜬금없는 질문을 하냐고요?
그 이유는 위의 질문으로부터 ‘페르미추정’이 생겨났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이탈리아의 물리학자이자 노벨상 수상자인
엔리코 페르미가 시카고대학의 학생들에게
이러한 문제를 내서 ‘페르미추정’이라는
용어가 생기게 되었다고 합니다.
또 이 페르미추정과 비슷한 용어로써
Guestimation이라고들 많이 칭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Guestimation은 시장의 크기를
추정하기 위한 유형으로, 페르미추정은 시장과는 아무 상관이 없는
것들을 추정하는 유형으로 분리하기도 합니다.
특히 이중 Guestimation은 비즈니스라는 생태계에 대해
얼마나 예리한 관찰력으로 잘 꿰뚫어볼 수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문제들이 출제되기 때문에
컨설팅 펌이나 대기업의 면접에서 자주 나타나고 있습니다.
페르미추정보다 비즈니스적인 면이 첨가되어 있다는
Guestimation은 어떤 문제가 출제되는 지 알아볼까요?
Q: 서울에 있는 영화관의 수는 몇 개일까요?
네? 이걸 정확히 어떻게 아냐고요?
사실 이 문제는 정확한 영화관의 수를 묻기 위해 내는
문제가 아닙니다.
Guestimation의 포인트는 문제 해결 의지와
얼마나 논리적으로 답을 찾아가는 지 보기 위함 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런 문제를 내는 이유를 말씀 드리겠습니다.
1) 출제자는 지원자의 논리적인 사고 능력과 문제 해결 역량을
헤아리기 위해서입니다.
2) 정답을 구하는 것을 보고 싶어서가 아니라
답에 접근하는 과정을 보고 싶어서 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답이 없는 상황에서도 지원자의 경험과 논리적인
사고를 얼마나 잘 활용 가능한지 평가해 보는 과정입니다.
즉 페르미추정이란 보다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역량 평가 방식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Guestimation에 접근하는 2가지 방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볼까요?
첫 째, 기본적인 통계수치에 대해 무조건 숙지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인구수 = 약 5천만 명
우리나라 가구 수 = 약 2천만 가구
미국의 인구 = 약 3억명
중국의 인구 = 약 13억명
위와 같은 기본적인 통계 수치들을 알고 계시면
문제를 푸는데 도움이 됩니다.
자, 그럼 지금부터 통계수치를 적용해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Q. 우리나라에서 하루 동안 태어나는 신생아의 수는?
이라는 문제가 나왔을 경우 우리나라의 인구가 약 5천만 명이라고
가정하에, 이 인구 수를 100세 기준의 스펙트럼으로 나누면 됩니다.
(우리나라의 평균 수명은 86세이지만 이 수치를 기준으로 할 경우
계산이 너무 복잡해 지므로 100세로 나누어 계산하는 것이
훨씬 용이합니다.)
이렇게 5천만 명을 100세로 나누면
0~1세 인구는 5천만 명 중 1%에 해당하므로
50만 명이라는 수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얻은 50만 명이라는 수치를 365일로 나누면
500,000 / 365 = 1369.863…이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하지만 0.8명은 없으니 답은 1370명이 되는 것입니다.
둘 째, 시장 크기 추정형 Guestimation인 경우
‘수요=공급의 법칙’이라는 대전체 하여 추정합니다.
‘수요 측면의 접근’
이 방법의 경우 인구통계를 활용합니다.
먼저 인구 중에서 의미 있는 *모수를 추정하여
연령, 빈도, 성별 등을 기준으로 분리하시면 되겠습니다.
(*모수란 모집단의 수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Q. 국내의 1년 간 소주 소비량을 구하시오.
위의 문제를 수요 측면에서 접근해 보겠습니다.
우선 우리나라의 인구를 약 5천만 명으로 놓고
술을 전혀 못 마시는 사람과, 법적으로 음주 불가능한
나이대의 사람을 제외합니다.
아까와 동일한 방법으로 100세를 기준으로 잡고
비음주 인구를 18%(0~18세) 혹은 더 쉽게 계산 하기 위해
20%를 놓고 전체 인구에서 제외합니다.
이렇게 20%를 빼면 음주 가능 인구는 4천만 명이 됩니다.
여기서 다시 남녀를 각각 2천명으로 나누어
남자가 여자보다 음주빈도가 높다는 가정을 세우고
남자가 일주일에 3번, 여자가 일주일에 1번 마신다고
추정해 보기로 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성별, 월별 음주 회수를
기준으로 삼아 음주 가능 인구를 나누어
국내의 일 년간 소주 소비량을 계산하시면 되는 것입니다.
‘공급 측면의 접근’
수요와 반대로 공급 측면에서 접근해 볼까요?
공급 측면에서 접근하는 이유는 아무리 수요가 많다고 하더라도
공급이 수요를 100프로 만족 시킬 수 없는 경우라면
수요 측면의 접근에서는 정확한 시장 규모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여건이 허락된다면 1차적으로 수요 or 공급의 방법으로
접근해 답안을 도출하신 후, 반대의 관점으로
Cross-check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시간이 좀 짧다 싶은데
2 가지 접근법을 다 적용 가능한 Guestimation이라면
둘 중 계산이 더 쉽고, 편리한 쪽으로
접근법을 사용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처음 Guestimation을 접하시는 분이라면
매우 어렵게 느껴지시겠지만 무한 연습을 바탕으로
실력을 쌓아 나가신다면 가장 자신 있는
면접이 되실 수 있으니 두려워하지 마시고
연습을 반복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 3편에 걸친 외국계 기업의 정보 [컨설팅 펌]편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대기업이나 컨설팅 펌을 지원하고 싶은데 이런 면접이
걱정되시는 분이 있다면 커리어브릿지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커리어브릿지는 Guestimation과 PT면접, Case 면접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회원들 간의 토론 시간을 통해
이기는 면접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드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간을 통해 외국계 컨설팅 펌에 입사한 회원들의
생생한 후기를 보고 싶다면
커리어브릿지 카페를 통해
더 많은 취업/커리어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커리어브릿지가 알려주는 취업꿀팁 - [형식이 있는 자기소개서] 1탄 (0) | 2017.01.17 |
---|---|
커리어브릿지가 알려주는 취업꿀팁! - 자유형식 에세이 (0) | 2017.01.16 |
외국계 기업 산업군 정보[컨설팅 펌] 2차 (0) | 2017.01.11 |
외국계 기업 산업군 정보[컨설팅 펌] 1탄 (0) | 2017.01.10 |
외국계 기업 산업군 정보[IT, 소비재] (0) | 2017.01.09 |
댓글 영역